3/30 탄생화는 마녀의 빗자루 애니시다 (금작화, 양골담초)
3월 30일 일본의 탄생화는 콩과 양골담초속(エニシダ属) 애니시다 별명은 양골담초 (洋骨擔草), 금작화 (金雀花) 나비 모양의 노란 꽃을 줄지어 앉아있는 참새에 비유한 것이다. 애니시다는 일본서 건너온 말이다. 에도시대 일본에 전래되었을 때 일본인이 라틴어 학명 게니스타(genista)를 애니시다로 오인했다는 설과 스페인어 이니에스타(hiniesta)를 애니스타로 부르다가 지금의 애니시다로 음변화되었다는 설이 있다. 일본어 : エニシダ (金雀枝, 金雀児) […]
벚꽃의날 탄생화 칼세올라리아, 꽃말은?
3월 27일 일본 기념일 벚꽃의날, 사쿠라노히 (さくらの日) 3(さ)×9(く)=27 숫자 발음 고로아와세 72후는 춘분의 차후 앵시개 (3/26~30) 桜始開 (さくらはじめてひらく) 벚꽃이 피는 시기 오늘의 탄생화는 칼세올라리아 / 칼세오라리아 현삼과에서 분리된 칼세올라리아과(キンチャクソウ科)의 여러해살이풀 또는 관목(低木)으로 칠레, 멕시코, 페루, 뉴질랜드 등이 원산지다. 학명: Calceolaria 라틴어로 슬리퍼(작은구두)를 뜻하는 Calceolus에 유래한다. 학명과 동일한 칼세올라리아속에는 400여종이 있으며 4~6월경에 개화하는데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 […]
12/19 탄생화는 은방울수선화 (snowflake), 설강화 일본어로?
12월 19일 일본의 탄생화 은방울수선화 수선화과(ヒガンバナ科) 은방울수선속(スノーフレーク属/Leucojum)의 알뿌리(球根/구근) 식물이다. 스노플레이크, 스노우 플레이크, 눈송이 수선화 등으로 불린다. 학명 : Leucojum aestivum 영명 : Summer Snowflake 가타카나 : スノーフレーク 속명 레우코줌(Leucojum)은 ‘흰색’을 뜻하는 그리스어 leukos와 ‘바이올렛(violet)’을 뜻하는 ion의 합성어로 하얀 제비꽃을 뜻한다. 봄은방울수선화(학명: Leucojum vernum, 영명: Spring Snowflake)는 제비꽃 향을 가지고 있다. 일본명(和名, 와메이) : 오오마츠유키소 (大待雪草オオマツユキソウ) 일어 […]
화폐 단위 일량/십량/백량/천량(죽절초)/만량(백량금) 일본어로?
이름에 화폐 단위가 들어간 식물 일량에서 억량까지 가을에서 겨울에 붉은 열매가 달린다. 일본에서는 운기가 상승하는 식물로 여겨져 정월(お正月)의 엔기모노(縁起物), 엔기식물(縁起植物)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것은 천량(千両) / 죽절초, 만량(万両) / 백량금 화폐 단위를 붙인 것은 상술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점차 고액의 단위를 붙여 더욱 운기가 좋아진다는 것을 어필하여 팔아먹을려고 한 것이다. 18세기 1량은 쌀 가격으로 환산하면 지금의 […]
장미를 닮은 겨울꽃 크리스마스 로즈 (헬레보어)
미나리아재비과(キンポウゲ科) 헬레보루스속(Helleborus)의 겨울꽃 성탄절 무렵에 장미를 닮은 꽃이 피는 크리스마스 장미 학명 : 헬레보루스 니제르 (Helleborus niger) 영명 : 블랙 헬레보어 (Black Hellebore), 크리스마스 로즈 (Christmas rose) 일본어 : クリスマスローズ 일본식 명칭은 한작약 寒芍薬 (かんしゃくやく)이며, 겨울 귀부인(冬の貴婦人)으로 불린다. 헬레보루스(ヘレボルス)는 Helleborus속으로 분류되는 식물의 총칭이다. 헬레보러스(ヘレボラス)라고도 한다. 영명은 Hellebore 꽃말은 추억(追憶), 나를 잊지말아요(私を忘れないで) 유래는 고대 유럽에서 전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