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星競馬
2/3 일본의 세츠분(節分) 풍습과 지방경마 일본어 경주명

입춘 전날인 2월3일(금)은 겨울과 봄의 경계 세츠분(節分/절분)이다. 먼저 일본의 풍습 에오마키(恵方巻き)와 마메마키(豆まき) 두가지를 소개한다. 김초밥 에호마키를 길한 방향(恵方/에호)을 향해 조용히 먹는다. 올해는 남남동이 길한 방향이다. 편의점, 마트에서 팔고 남은 재고물량 대량 폐기가 매년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마메마키(豆まき)는 「오니는 밖으로 복은 안으로鬼は外!福は内!」를 외치며 콩을 뿌리는 풍습이다. 북쪽지방은 대두 대신 낙화생(땅콩)을 사용한다. 일본 소비자청은 5세 이하 아동에겐 […]

Read more
일본뉴스
나라시 토미신사 전통행사 카유 우라나이 (팥죽점)

츠츠카유 마츠리 (筒粥祭り) ​ 2월 1일 아침 일본 나라시 토미신사(登彌神社)에서 300년 전통의 팥죽 점치기 행사가 열렸다. ​ 시 지정문화재  카유 우라나이 (粥占い) ​ 가마솥에 쌀과 팥 등을 대나무통(37개)를 넣고 죽을 만든 후 죽통을 확인하여 쌀알 등이 많이 들어가 있으면 풍작을 예상한다. 통안에 들어간 쌀과, 채소, 과일 등을 상의상, 하의하까지 9단계로 구분하는데 올해는 하(下,게)가 많이 나와서 […]

Read more
달력이야기
6일 24절기는 소한, 72후와 삼후 일본의 풍습

2023년 1월 6일 24절기는 소한 (小寒しょうかん)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는 23번째 절기 “대한(大寒)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1년 중 가장 추운 절기로 알려 있다. 소한 추위가 대한보다 더 매섭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일본에서는 칸노이리(寒の入り)라고 하며, 입춘 전날인 2월 3일(금) 세츠분(節分)까지를 칸노우치(寒の内)라고 한다. 다른 말로 칸츄 寒中(かんちゅう) 이 시기의 안부 인사 […]

Read more
일본이야기
일본 새해 음식 일곱가지 나물죽(야채죽)과 나나쿠사

일본의 새해 음식중의 하나 일곱가지 나물죽 나나쿠사가유(七草がゆ, 七草粥)는 1월 7일 아침에 먹는다. 죽의 재료로 사용되는 봄의 7가지 채소는 미나리, 냉이, 떡쑥, 별꽃, 개보리뺑이(광대나물), 순무, 무 한해의 무병식재(無病息災むびょうそくさい)를 기원하고 설날 술과 오세치요리 등으로 지친 위와 장을 쉬게 하는 풍습이다. 요즘은 마트에서 세트 상품으로 판매하며 지방에 따라서 식재료에 차이가 있다. 사계절마다 대표적인 일곱가지 화초 또는 채소가 있는데 […]

Read more
일본어표현
일본의 새해 속담과 1월 쇼가츠(정월) 설날 음식

일본의 문화, 일본어 신년 속담(ことわざ) 一年の計は元旦にあり (いちねんのけいはがんたんにあり) 何事もまず初めに計画を立てることが大事 1년의 계획은 설날에 세워라! 새해 첫날에 한해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뜻이다. 뭐든 처음이 중요하다. 제대로된 계획에 따라 착실히 실행하라는 것이다. The whole year’s plans are made on New Year’s Day. 一日の計は朝にあり 하루의 계획은 아침에 세워라! 1월 이야기 1월의 대표적인 일본어 별명/화풍월명(和風月名)은 무츠키(睦月/목월) 간지츠(元日), 간탄(元旦), 쇼가츠(正月) 차이점은? 元日(がんじつ)원일은 1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