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이야기
6월 21일 24절기는 낮이 가장 긴 하지(夏至)

6월 21일은 낮 시간이 가장 긴 24절기 하지(夏至) 일본어 발음은 게시,  夏至(げし、summer solstice)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이며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있다.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 한다.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로는 기온이 […]

Read more
달력이야기
11일 망종의 72후는 부초화형(腐草化螢), 호타루 초롱꽃

초롱꽃 (蛍袋) 6월 11일 토요일 72후(七十二候)는 24절기 망종(芒種)의 차후(次候)인 부초화형(腐草化螢)으로 바뀐다. 일본어 부초위형(腐草為蛍) 발음은 쿠사레타루쿠사 호타루토나루(くされたるくさほたるとなる) 腐った草が蒸れて、蛍になる 일본어 해설을 보면 썩은 풀이 더위에 물크러져 반딧불이로 변한다는 뜻으로, 개똥벌레가 날아다니기 시작하는 시기임을 의미한다고 나온다. 채근담(菜根譚, さいこんたん)에는 썩은 풀에 사는 애벌레가 반딧불이가 되어 여름밤을 빛낸다고 나온다. 腐草無光(이음로어추풍, 부초무광) 化蔿螢, 而耀采於夏月(화이형, 이요채어하월) 따라서 모든 성공이나 완성에는 고통이 따른다고 […]

Read more
달력이야기
6/6 24절기 망종(芒種) 보릿가을과 수국(아지사이)

二十四節気(にじゅうしせっき) 6월 6일은 24절기중에서 9번째,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있는 망종(芒種, ぼうしゅ)이다. 한자 망(芒)은 까끄라기 망 벼와 보리와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이며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한창 분주하다. 芒(のぎ)のある穀物の種をまく時期 6월경 보리를 수확하는 시기는 보릿가을, 맥추(麦秋, ばくしゅう)라고 한다. 훈독(訓読み)은 무기아키, 일제강점기 보릿고개를 많이 겪었다. 일본에서는 장마철과 겹치는 시기이며, 아지사이 수국(紫陽花, 자양화)이 만발한다. 일본어로 모내기는 […]

Read more
달력이야기
5/26 소만, 72후의 차후는 베니바나사카우(紅花栄)

5월 26일(목) 24절기는 입하와 망종 사이의 소만(小満)이다. 72후는 차후(次候) 베니바나사카우(紅花栄, べにばなさかう), 홍화(잇꽃, 연지꽃)가 만발하다는 뜻이다. 홍화는 천을 진홍(真紅, しんく)으로 염색하는데 사용되는 천연 염료이며 립스틱(구치베니) 등에 사용되는 화장품이기도 하다. 5月26日(旧4月26日)の木曜日。 七十二候「紅花栄(べにばなさかう)」。かつて栄えた産業にかかわる一候です。 紅花は布を真紅に染められる貴重な天然染料であり、口紅などに用いられる希少な化粧品でもありました。 和暦研究家の高月美樹さん(@takatsukimiki)https://t.co/nOIyKpCWRf — 暦生活(こよみせいかつ) (@543life) May 25, 2022 칠십이후 72후(七十二候, しちじゅうにこう)는 중국에서 고안된 계절을 나타내는 방식의 하나이다. 약 15일씩인 24절기(二十四節気, にじゅうしせっき)의 각 절기를 약 5일씩 […]

Read more
달력이야기
이사, 결혼 택일 2018년 손 없는 날 달력과 윤달

2018년 손없는 날은 총 68일이며 윤달은 없다. 결혼하기 좋은날, 개업, 집수리, 이삿날 택일 등 집안의 대소사에 앞서 귀신이 없는 좋은 날짜를 고를 때 많이 참고하는 것이 손없는 날이다. 손없는 날이란? 민속신앙에서 ‘손’이란 날수에 따라 동서남북 4방위로 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한다는 귀신을 부르는 말로 ‘손님’을 줄여 부르는 것이다. 따라서 손 있는 날이란 손실, 손해를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