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YS 서거 2주기 추도사 전문

YS 추모식에 현직 대통령 처음 참석! 진영을 초월한 문 대통령의 통합 행보

문재인 대통령은 11월 22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2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마지막 유훈인 통합과 화합을 강조했다.

김영삼(金泳三, 1929년 1월 14일 ~ 2015년 11월 22일) 전 대통령은…

▲만26세의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
▲YH무역 여성노동자 신민당 농성사건, 의원직 박탈 등 1970년대 유신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을 이끈 야당 지도자
▲광주민주항쟁 3주기에 맞춘 23일간의 단식

문 대통령 YS 추도사, “미래로 가는 힘은 국민 화합과 통합”

문 대통령의 YS 추도사 전문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우리는 민주주의 역사에 우뚝 솟은 거대한 산 아래 함께 모였습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독재와 불의에 맞서 민주주의의 길을 열어온 정치지도자들이 많이 계십니다.
김영삼이라는 이름은 그 가운데서도 높이 솟아 빛나고 있습니다.

김영삼 대통령님과 함께 민주화의 고난을 헤쳐오신 손명순 여사님과 유족들께 깊은 존경과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김영삼 대통령께서는 1954년 5월 남해의 푸른 섬 거제도에서 만 26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때부터 민주주의와 역사의 문제를 가슴에 품고 그 답을 찾아 담대한 여정에 나섰습니다.

1970년대에는 유신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을 이끄는 강력한 야당 지도자가 되었습니다.
민주주의의 깃발을 더 높이 들었고, YH여성노동자들과 함께 했으며 1979년 10월 유신정권으로부터 의원직을 박탈당하는 고초를 겪었습니다.
그에 대한 분노와 저항으로 촉발된 부마민주항쟁은 결국 유신정권을 몰락시켰습니다.

1980년대 김영삼 대통령님의 민주화 투쟁은 5·18 광주민주항쟁과 함께 다시 불타올랐습니다.
광주민주항쟁 3주기에 시작한 단식은 23일 간 목숨을 걸고 계속되었습니다.
이 땅에 다시 드리워진 독재의 어둠을 깨치고, 민주주의의 새벽을 불러왔습니다.

김영삼 대통령님은 1950년대에서 90년대까지 독재 권력과 맞서 온몸으로 민주화의 길을 열었습니다.

거제도의 젊은 초선의원은 “바른 길에는 거칠 것이 없다”는 ‘대도무문(大道無門)’을 가슴에 새겼습니다.
김영삼 대통령께서 40여 년의 민주화 여정을 거쳐 도달한 곳은 군사독재의 끝, 문민정부였습니다.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문민정부가 우리 민주주의 역사에 남긴 가치와 의미는 결코 폄하되거나 축소될 수 없습니다.

오늘 우리가 자랑스러워하는 4·19혁명과 부마민주항쟁, 광주민주항쟁, 6월항쟁이 역사에서 제 자리를 찾았던 때가 바로 문민정부입니다.

김영삼 대통령께서는 취임 후 3개월이 채 지나지 않은 5월13일 발표한 담화문에서,
“문민정부의 출범과 그 개혁은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실현시켜 나가는 과정”이라고 했습니다.
문민정부를 넘어 이 땅의 민주주의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신 것입니다.

법과 정의에 기초한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해 군사독재시대에 대한 역사적 청산도 이루어졌습니다.
군의 사조직을 척결하고, 광주학살의 책임자를 법정에 세웠습니다. 금융실명제와 부동산실명제는 경제정의의 출발이었습니다.

신속했던 개혁의 원동력은 민주화와 함께 커진 국민의 역량과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믿음이었습니다.

또한, 김영삼 대통령께서 연 문민시대는 민주주의를 상식으로 여기는 세대를 길러냈습니다.
권력의 부당한 강요와 명령에 맞서고 정의롭지 못한 정치를 거부하는 깨어 있는 시민들이 늘어났습니다. 문민정부 이후 우리는 더 나은 민주주의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손명순 여사님과 유족 여러분,

오늘 저는 문민정부가 연 민주주의의 지평 속에서 대통령님이 남기신 ‘통합’과 ‘화합’이라는 마지막 유훈을 되새깁니다.

대통령님이 말씀하신 대로, 대한민국을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게 하는 힘은 국민의 화합과 통합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겠습니다.

국민과 함께 걷는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여정에 대통령님께서도, 언제나 거기 있는 큰 산처럼 함께 해주시리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2017년 11월 22일
대한민국 대통령 문 재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