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백로(白露), 일본의 72후 삼후(三候)와 할미새 6종
9월 8일부터 24절기는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는 백로 (白露)
밤사이 풀잎에 이슬이 맺혀 가을기운이 완연해지는 15번째 절기이며 흰 이슬을 뜻한다.
한자 일본어 발음은 하쿠로
二十四節気(にじゅうしせっき)白露(はくろ)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72후
24절기를 초후, 차후, 말후로 대략 5일씩 3등분한 72후 (microseasons) / 七十二候(しちじゅうにこう)
고대 중국에서 고안된 계절을 나타내는 방식의 하나이며, 명칭은 날씨 및 동식물의 변화를 알리는 단문 형식이다.
중국 원문에는 꿩이 바다로 들어가 대합이 된다는 등 현실과 동떨어진 내용도 있다.
일본에서는 에도시대에 들어 일본의 기후 풍토에 맞게 일부 내용을 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백로 기간 삼후(三候)는 다음과 같다.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侯)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일본의 삼후
초후(初候) 9.8~12일경
초백로 / 草露白 (くさのつゆしろし) 草に降りた露が白く光る
풀잎에 맺힌 이슬이 하얗게 빛나다.
차후(次候) 9.13~17일경
척령명 / 鶺鴒鳴(せきれいなく) 鶺鴒(せきれい)が鳴き始める
할미새가 울기 시작한다.
말후(末候) 9.18~22일경
현조거 玄鳥去(つばめさる) 燕(つばめ)が南へ帰って行く
제비(현조/玄鳥, げんちょう)가 남쪽으로 돌아간다.
할미새
하천에에서 많이 보이는 참새목 할미새과의 할미새는 땅에서 많이 걷고 생활하는 습성이 있다.
빠른 걸음으로 쉴 새 없이 꼬리를 흔들어 대며 날개 깃을 가끔 펼친다.
할미새과는 지구상에 59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4종이 서식한다.
할미새속에는 여름철새 알락할미새를 포함하여 긴발톱할미새, 노랑할미새, 백할미새, 검은등할미새, 노랑머리할미새 등 6종이 있다.
대표적인 할미새 6종 및 일본어 명칭
- 노랑할미새 : キセキレイ (黄鶺鴒) Grey Wagtail
- 검은등할미새 : セグロセキレイ (背黒鶺鴒)
- 노랑머리할미새 : キガシラセキレイ (黄頭鶺鴒) Citrine wagtail
- 긴발톱할미새 : ツメナガセキレイ (爪長鶺鴒) Yellow wagtail
- 알락할미새 :タイリクハクセキレイ (大陸白鶺鴒) White Wagtail
- 백할미새 : ハクセキレイ (白鶺鴒) 안락할미새의 아종 Pied Wagtail
알락 뜻은 본바탕에 다른 빛깔의 점이나 줄 따위가 조금 섞인 모양. 또는 그런 자국
알락해오라기, 알락하늘소, 알락나방, 알락오리 등 조류나 곤충 등의 이름 앞에 알락이 붙어 있으면 생김새를 짐작할 수 있다.
얼룩과 유사한 말 알락은 일본어로 반점(斑点), 부치/마다라 斑(ぶち/まだら)
일본신화에서는 최초의 부부신 이자나기(イザナギ)와 이자나미(イザナミ)가 할미새가 꼬리를 상하로 흔드는 동작을 보고 성교 방법을 터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백할미새와 흰코뿔소(シロサイ)
ごはんのおこぼれを狙っている訳でもなく
タロウの側に佇むハクセキレイ
もしかしたら先月旅立ったサイコの生まれ変わりが「元気出してよ!」って見に来ているのかも知れませんね。#静岡市立日本平動物園#シロサイ pic.twitter.com/iEB8EGOFfG— たびおん (@0tabizukionpu) September 8, 2022
일본의 가을 일곱가지 화초
일본의 가을 일곱가지 화초, 마타리와 뚝갈 유래
작은 노란꽃이 집합해 있는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마타리 (학명 : Patrinia scabiosifolia) 야황화, 야근, 여량화, 강양취, 가양취 등의 다양한 별명이 있다. 8~10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