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표현
오늘의 탄생화 옹굿나물, 히메시온과 개미취, 봄망초(하루지온)

9월 13일 일본 탄생화는 국화과 참취속/개미취속 (Aster, シオン属) 여러해살이풀 옹굿나물 학명: Aster fastigiatus Fisch ​ 아래 6시 내고향 방송을 보면 옹긋쫑긋 작고 귀여운 꽃이 피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8~10월에 흰색 꽃이 산방 꽃차례 / 산방화서(散房花序, さんぼうかじょ)로 줄기 끝에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수과를 맺는다. 수과(瘦果)는 해바라기, 민들레 열매처럼 외관상 씨처럼 생겼는데 작고 여물어도 터지지 않는다. 껍질은 […]

Read more
달력이야기
2022년 추석(중추절) 구글두들 기념일 로고와 보름달, 미카즈키

2022년 9월 10일 (음력 8월15일) 추석 (秋夕) 한가위 구글두들(Google Doodle) 기념일 로고 illustrated by ​​Dasom Yun (윤다솜 인스타그램) 일본에선 중추의 명월 (中秋の名月, ちゅうしゅうのめいげつ), 십오야(十五夜, じゅうごや), 우명월 / 이모메이게츠 芋名月(いもめいげつ)라고 하며 각지에서 달보기 츠키미(月見) 행사를 개최한다. ​ 추석, 한가위를 뜻하는 한자는 중추절(中秋節)이 정확한 표현이다. ​ 중추(仲秋, 中秋) 두가지 한자를 사용하는데… 仲秋 가을의 가운데 달, 음력 8월의 […]

Read more
달력이야기
24절기 백로(白露), 일본의 72후 삼후(三候)와 할미새 6종

9월 8일부터 24절기는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는 백로 (白露) 밤사이 풀잎에 이슬이 맺혀 가을기운이 완연해지는 15번째 절기이며 흰 이슬을 뜻한다. 한자 일본어 발음은 하쿠로 二十四節気(にじゅうしせっき)白露(はくろ)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72후 24절기를 초후, 차후, 말후로 대략 5일씩 3등분한 72후 (microseasons) […]

Read more
탄생화
노란꽃이 피는 들괭이밥과 괭이밥 차이점은? 일본어로?

북미 원산의 괭이밥과(カタバミ科) 귀화식물 들괭이밥 학명: Oxalis dillenii 일본어 : 옷타치카타바미 / オッタチカタバミ (おっ立ち片喰) 일본에서는 1965년 교토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괭이밥은 줄기가 지표면으로 뻗는 반면 들괭이밥은 수평으로 뻗은 땅속줄기(地下莖/지하경)에서 나온 다른 줄기가 위로 뻗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 모양은 비슷하며 노란색의 잎이 다섯개인 오판화(五弁花, 고벤카)이다. 들괭이밥이 전체적으로 하얀 털이 많고 잎이 밀집해 있으며, 위로 올라 온 줄기가 […]

Read more
일본이야기
오늘의 탄생화 다육식물 세잎돌나물와 꿩의비름

9월 7일 일본 오늘의 탄생화는 돌나물과 (ベンケイソウ科) 다육식물 세잎돌나물 ​ 별명은 불로초, 세잎꿩의비름, 일본꿩의비름 ​ 일본어로 미세바야 ミセバヤ (見せばや) ​ 일어명은 보여주고 싶다는 미세타이(見せたい)의 옛표현으로 아름다운 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다는 뜻을 담고 있다. 고전식물(古典植物)로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인기 있는 식물이다. ​ 세잎돌나물 이름 그대로 3장의 잎이 윤생한다. ​ 동그란 회청색(灰青色) 잎은 두껍고, 테두리에는 자잘한 거치(切れ込み)가 있고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