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탄생화 용담, 멧용담과 비로용담 비교
9월 16일 일본 오늘의 탄생화는 용담과(リンドウ科) 여러해살이풀 용담 (龍膽)
학명/영명 : Gentiana scabra / gentian
도라지꽃과 함께 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보라색 꽃이다.
청자(青紫, あおむらさき)색 / 벽자색(碧紫色)이라고도 한다.
잎은 바소 모양(披針形/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개의 큰 맥이 있다.
군생하지 않고 단독으로 자생하며 오래전부터 약재로 이용되었다.
용담의 뿌리가 곰의 쓸개(담낭) 웅담(熊胆; ゆうたん, 熊の胆; くまのい)보다 더 쓰다는 뜻에서 용의 쓸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본어로 린도우 リンドウ(竜胆)
별명은 위병초 / 이야미구사 イヤミグサ(胃病草)
역병초 / 에야미구사 エヤミグサ(疫病草)
꽃말(花言葉, 하나코토바)은 정의,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
일본어로는 슬퍼하는 당신을 사랑한다 (悲しんでるあなたを愛する)
라틴명의 속명 ‘겐티아나’는 기원전 뿌리의 약효를 발견한 지중해 북쪽 아드리아해 연안의 일리리아(Illyria) 지방의 왕 겐티우스(Gentius)에 유래한다.
용담속에는 400여종의 식물이 있는데 국내에는 10여종이 자생한다.
멧용담
제주 한라산 등 고산지대 습지에서 자생하는 멧용담
‘멧’은 산을 의미한다.
학명: Gentiana nipponica
일본어로 미야마린도우 ミヤマリンドウ(深山竜胆)
직역하면 심산용담
일본 식물명에 미야마 / 심산(深山)이 들어가면 대부분 고산식물을 의미한다.
꽃말은 いじらしい 애처롭다. 갸륵하다.
ミヤマリンドウ(深山竜胆)
リンドウ科リンドウ属の多年草。花期は7〜9月。高さは5〜10cmで茎上部に花冠が5裂した青紫色の花をつけます。🌸🌺🌼北海道、本州中部地方以北に分布。高山帯の湿原に生育します。🌸🌺🌼#ミヤマリンドウ #深山竜胆 #リンドウ科 #多年草 #青紫色の花 #花の写真 pic.twitter.com/AmseWVtCwv
— 🌸花一匁🌸hanaichimomme0468 (@hanaichi0663) May 31, 2021
비로용담
희귀식물 비로용담 (毗盧龍膽)
일본어로 리시리린도우 リシリリンドウ(利尻竜胆)
학명: Gentiana jamesii Hemsl.
일본명은 홋카이도 북부 동해상의 리시리섬(利尻島, 리고도)에 유래하며 북해도 다이세츠산과 유바리산에도 자생한다.
멧용담과 유사한데 부편(副片)이 꽃부리/화관(花冠) 안쪽을 덮고 있는 점이 다르다.
비로용담의 생약명은 백산용담
今日の誕生花は「リンドウ(竜胆)」。
花言葉は「悲しんでいるあなたを愛する」です。秋に、鐘形の美しい青紫の花を上向きに咲かせます。
古来より薬草として知られ、根が「龍の胆のように苦い」ことが名前の由来です。『誕生花日めくり 2023』ができました💐https://t.co/InoKvoOaG4 pic.twitter.com/gAEWAyNhae
— 暦生活 (@543life) September 15,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