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탄생화 돈터치미 봉선화, 한국 가곡의 원류

9월 5일 오늘의 탄생화는 봉선화과(ツリフネソウ科) 봉선화 / 봉숭아

학명/영명: Impatiens balsamina/ balsam, touch-me-not

여름철에 봉선화가 피면 부녀자들은 봉선화 꽃잎에 괭이밥(カタバミ/ 片喰)의 잎을 섞고 백반 또는 소금을 약간 넣어 빻아서 손톱에 얹고 헝겊으로 싸매어 손톱을 곱게 물들였다

일본어로 호우센카 ホウセンカ(鳳仙花

꽃이 봉황(鳳凰, ほうおう)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인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私に触れないで)

씨주머니를 건드리면 씨가 사방팔방 튀어나가는데서 유래한다.

일본의 과명 츠리후네소 ツリフネソウ(釣船草)는 물봉선화를 뜻한다.

한국 가곡의 효시 봉선화 / 조용필

1920년 작곡가 홍난파의 바이올린 독주곡 애수(哀愁)에 1925년 김형준 시인이 노랫말을 붙였다.

3절의 가사가 조선의 독립을 노래한다고 하여 금지곡으로 정하고 부르지 못하게 했다.

1.
울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필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2.
어언간에 여름가고 가을바람 솔솔불어
아름다운 꽃송이를 모질게도 침노하니
낙화로다 늙어졌다 네 모양이 처량하다
3.
북풍한설 찬바람에 네 형체가 없어져도
평화로운 꿈을 꾸는 너의 혼은 예있으니
화창스런 봄바람에 환생키를 바라노라

우는 화살 효시(嚆矢) 유래와 일본어 카부라야

어떤 일의 최초/시초를 의미하는 한자 효시 일어 발음은 嚆矢(こうし) 嚆(울릴 효), 矢(화살 시) 우는 화살, 즉 ‘소리나는 화살(Whistling Arrow)’을 의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