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개불알풀(봄까치꽃), 며느리밑씻개 등 특이한 일본어 꽃 이름 해설

특이한 이름의 한국어 일본어 식물명

진명 야생초(야초), 야생화 5종

  • 大犬の陰嚢 오오이누노 후구리
    큰개불알풀, 봄까치꽃
  • 地獄の釜の蓋(医者殺し)지고쿠노 카마노후타
    금창초(金瘡草), 금란초(金襴草)
  • 屁糞葛 헤쿠소 카즈라
    계요등(鷄尿藤), 닭오줌꽃
  • 継子の尻拭 마마코노 시리누구이
    며느리밑씻개 (嫁の尻拭き草)
    덩굴가시여뀌·사광이아재비
  • 掃溜菊 하키다메 기쿠
    털별꽃아재비, 쓰레기풀

큰개불알풀, 며느리밑씻개 등은 일제의 잔재가 남은 식물명이 많은데 우리말 이름 사용을 권하고 있다.

큰개불알풀

오오이누노 후구리(대형견의 음낭)

オオイヌノフグリ(大犬の陰嚢)

별명은 호시노히토미(星の瞳) 별의 눈동자

질경이과 (オオバコ科) 유럽 원산의 큰개불알풀, 봄까치꽃 (큰봄까치꽃)

열매가 개의 불알(부랄)을 닮아 붙여진 일본명을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일본에서도 이름이 그시기하여 후대의 식물학자들이 텐닌카라쿠사(天人唐草/천인당초), 루리카라쿠사(瑠璃唐草/유리당초) 등의 개명 제안을 했지만 보급되지 못했다.

학명 : Veronica persica 페르시아의 베로니카

베로니카는 골고타 언덕으로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의 얼굴의 피땀을 자신의 스카프로로 닦아주었다고 전해지는 성녀인데 수건에는 예수의 얼굴이 찍혀 있었다는.. 꽃의 하얀 중심부가 예수의 얼굴을 연상시켜 붙여진 이름이다. 따라서 꽃말도 충실, 신뢰, 청아함 등이다.

영명 : 새의 눈(Bird’s eye), 고양이의 눈(Cat’s-eye), Persian speedwell 등

개불알풀은 이누노후구리 / イヌノフグリ(犬の陰嚢) 봄까치꽃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 방영중인 NHK 아침드라마 란만의 모델 마키노 도미타로(牧野富太郎) 박사가 명명했다.

열매가 고환과 유사한 것은 개불알풀이다. 큰개불알풀 열매는 살짝 편평하고 끝이 뾰족하여 부랄과 별로 닮지 않았다.

​후구리 음독 : 음낭 陰嚢(いんのう), 고환 睾丸(こうがん)

금창초

지고쿠노 카마노후타 (지옥의 솥뚜껑)

ジゴクノカマノフタ (地獄の釜の蓋)

근출엽(根出葉)이 지면에 방사선 모양으로 퍼진 모양을 솥뚜껑에 빗댄 것이다.

표준명 킨란소 / キランソウ(金瘡小草/금창소초)

별명은 약효가 뛰어나 의사 죽이기(医者殺し), 의사 불필요(医者いらず)

꿀풀과 (シソ科/소엽과) 금창초(金瘡草), 금란초(金襴草)

금창은 칼로 난 상처인 도창(刀傷)을 뜻하며 잎을 짓이겨 상처에 바르면 효과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전초를 건조한 생약명은 근골초(筋骨草, キンコツソウ)

일본어 관용구 

地獄の釜の蓋も開く (じごくのかまのふたもあく)

정월 16일과 오봉 16일은 지옥의 귀신도 죄인을 끓이는 가마솥 뚜껑을 열어둔다는 뜻으로 이 양일간은 모든 일을 멈추고 쉬자는 의미다.

불교에서 1월 16일과 7월 16일을 염마 참배/ 엔마마이리(閻魔参り) 또는 염마새일(閻魔賽日えんまさいじつ)이라고 한다.

염라대왕을 모시는 염마당(閻魔堂)에 참배하는 날이다.

일본에서는 주로 엔마(閻魔/염마)라고 하며 염왕(閻王えんおう), 염마라사(閻魔羅闍えんまらじゃ), 염마대왕(閻魔大王えんまだいおう),  줄여서 염라왕(閻羅王えんらおう) 등으로 부른다.

국내에서는 주로 염마라사를 줄여 염라대왕(閻羅大王)이라고 부른다.

에도시대 때는 이 날을 야부이리(薮入り)라고 하여 더부살이(奉公人)가 있는 집에서는 15일 코쇼가츠(小正月) 행사를 마친 하인들이 귀향하도록 휴가를 주었다.

두번째 오봉 때 휴가는 노치노야부이리(後の薮入り)라고 한다.

어원에 대해서는 덤불 우거진 고향으로 돌아가기 때문(薮深い里へ帰ることから) 등 여러 설이 있다.

​계요등

헤쿠소 카즈라 / ヘクソカズラ(屁糞葛/비분갈) 방귀+똥+칡

카즈라(蔓/만)는 덩굴식물(つる植物)을 의미한다.

일어 별명은 꽃의 중심이 붉어 야이토바나 灸花(やいとばな)

야이토는 뜸, 뜸질 (灸/구, きゅう)

사토메바나 早乙女花(さとめばな)

꽃모양을 모내기하는 여성 사오토메(早乙女)가 쓰고 있는 삿갓(笠)에 빗댄 것이다.

꼭두서니과(アカネ科) 계요등(鷄尿藤) 직역하면 닭오줌 등나무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고 하여 닭오줌꽃

잎에 붙어 이 악취 성분를 체내에 흡수하는 해충인 진딧물과(アブラムシ科) 딱총나무수염진딧물, 일본 이름이 헤쿠소카즈라 히게나가 아부라무시( ヘクソカズラヒゲナガアブラムシ) 계요등 + 긴수염 진딧물

관련 속담(諺/코토와자)

屁糞葛も花盛り(へくそかずらもはなざかり)

이상한 냄새가 나는 계요등도 귀여운 꽃을 피우는 시기가 있듯이 못생긴 여자(不器量な娘)도 때가 되면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다는 뜻이다.

유사한 속담은…

鬼も十八 番茶も出花 (おにもじゅうはち ばんちゃもでばな)

도깨비도 18세, 싸구려 차도 갓 달이면 향이 좋다. 오니도 때가 되면 조금은 아름답게 보인다.

며느리밑씻개

​마마코노 시리누구이
ママコノシリヌグイ(継子の尻拭) 의붓자식의 밑씻개

마디풀과(タデ科) 며느리밑씻개 (嫁の尻拭き草)

별명은 가시덩굴여뀌, 사광이(살쾡이)아재비

참고로 계모(継母)는 마마하하, 음독 케이보(けいぼ)

털별꽃아재비

​하키다메기쿠
ハキダメギク(掃溜菊/소류국) 쓰레기장+국화

국화과(キク科) 털별꽃아재비, 별칭은 쓰레기풀

일본어 하키다메(掃き溜め)는 쓰레기장

현재 방영중인 NHK 드라마 난만 / 란만(らんまん)의 모델인 식물학자 마키노 도미타로(牧野富太郎)가 도쿄 세타가야의 쓰레기장(ごみ捨て場)에서 발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슷한 풀로 줄기나 잎에 털이 거의 없는 별꽃아재비는 코고메기쿠 /コゴメギク(小米菊/소미국)

일본어 관용구, 속담

掃き溜めに鶴 (はきだめにつる) 쓰레기장에 학

군계일학(群鷄一鶴)과 유사한 말이다.

일본어로는 계군일학

鶏群の一鶴 / 鶏群一鶴 (けいぐんのいっかく)

掃き溜めと金持ちは溜まるほど汚い

쓰레기장과 부자는 쌓일수록 더럽다.

돈이 모일수록 더 욕심을 부리고 구두쇠(ケチな人)가 된다는 뜻이다.

초등학생용 식물 설명서 3종

https://www.tumblr.com/kimtaku/722707639806623744/%E5%A4%A7%E7%8A%AC%E3%81%AE%E9%99%B0%E5%9A%A2-%ED%81%B0%EA%B0%9C%EB%B6%88%EC%95%8C%ED%92%80-%EB%B4%84%EA%B9%8C%EC%B9%98%EA%BD%83-%E5%B1%81%E7%B3%9E%E8%91%9B-%EA%B3%84%EC%9A%94%EB%93%B1-%E9%B7%84%E5%B0%BF%E8%97%A4-%EB%8B%AD%EC%98%A4%EC%A4%8C%EA%BD%83-%E6%8E%83%E6%BA%9C%E8%8F%8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