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나물과 유사한 독초 구별방법! 곰취, 원추리, 산마늘 오인 섭취 사례

– 봄철, 독초를 산나물로 혼동하여 섭취하는 사례 증가

– 산나물과 유사한 독초(독성식물) 구별방법과 섭취 시 주의사항 안내

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개인이 임의로 채취하여 섭취한 후 장염증상 등을 호소하는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20년부터 현재까지 독초를 섭취하고 복통 등의 증상으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신고된 사례는 총 26건으로 3~6월에 접수된 것이 전체의 85%를 차지했으며, 월별로는 4월에 가장 많이 발생(10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 병원, 소방서, 소비자상담 등으로부터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축된 한국소비자원의 감시 시스템

독초 섭취에 의한 중독사례가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이유는 꽃이 피기 전에 잎 또는 뿌리만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며, 대표적인 독초로는 동의나물, 여로, 박새 등이 있다.

곰취 vs 동의나물

독초인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 (リュウキンカ/立金花/입금화)’은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국화과 ‘곰취 (オタカラコウ/雄宝香/웅보향)’와 오인·혼동할 수 있는데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다.

반면, ‘곰취’는 향이 좋으면서 잎이 부드럽고 광택이 없으며, 날카로운 톱니를 가지고 있다.

원추리 vs 여로

독초인 여로과 ‘여로(シュロソウ/棕櫚草/종려초)’는 산나물로 먹는 ‘원추리 (ワスレグサ/忘れ草)’와 혼동하기 쉬운데 ‘여로’는 잎에 털과 깊은 주름이 있다.

반면에 ‘원추리’는 잎에 털과 주름이 없다.

원추리 이름은 근심을 잊게 해준다는 중국명 훤초(萱草, カンゾウ)에서 변형된 것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훤초(諼草, 藼草, けんそう)로도 불렀는데 훤(諼)은 잊다, 망각하다, 속이다 등의 뜻이 있다.

시름을 잊게 해주고 쓸쓸함을 달래준다고 하여 망우초(忘憂草, ぼうゆうそう), 요수초(療愁草, りょうしゅうそう)로도 불렀다.

일본어 별명은 칸조우 이외에 코이와스레구사(恋忘草/연망초)가 있다.

산마늘 vs 박새

독초인 여로과 ‘박새 (バイケイソウ/梅蕙草/매혜초)’는 주로 명이나물로 불리는 ‘산마늘’과 구분하기 어려운데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어긋나 있으며 주름이 뚜렷하다.

반면 ‘산마늘’은 마늘(부추) 향이 짙게 나고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려 있어 구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미국자리공’의 뿌리를 인삼·도라지·더덕 등의 뿌리와 오인하여 섭취하거나, ‘산괴불주머니 (エゾキケマン/蝦夷黄華鬘)’를 ‘쑥 (ヨモギ/蓬/봉)’으로 혼동하여 먹는 사례가 있다.

따라서, 산나물에 대한 충분한 사전지식이 없이 야생식물을 개인이 임의로 채취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독성 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산림청 국립수목원 누리집 연구간행물에서 봄, 가을 독성 식물에 대한 가이드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의 이상증세가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진료에 도움을 위해 남은 독초가 있다면 가져가는 것이 좋다.

한편 먹을 수 있는 산나물이라 하더라도 원추리, 두릅(タラの芽), 고사리(ワラビ/蕨/궐) 등은 식물 고유의 독성 성분을 미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끓는 물에 충분히 데쳐서 먹어야 한다.

특히, 원추리에는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성분이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이 성분은 원추리가 성장할수록 강하게 나타나 반드시 어린 잎만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식약처는 일반적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분하기 쉽지 않으므로 채취하지 않는 것이 독초 섭취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식용 가능한 산나물도 올바른 조리방법을 확인하고 섭취할 것을 당부하였다.

[일본뉴스] 봄의 미각, 산채 주의점 ​

유독식물 섭취 식중독 발생 사례 증가

독성식물 수선화와 부추도 생김새가 비슷하다.

미나리아재비과 (キンポウゲ科) 식용 남바람꽃 / 니린소 ニリンソウ(二輪草)와 독이 있는 투구꽃 / 토리카부토 トリカブト(鳥兜) 유사

식용 산마늘(명이나물) / ギョウジャニンニク)과 독성식물 콜치쿰(コルチカム) / 콜키쿰 / 이누사프란 (イヌサフラン, 영명: autumn crocus meadow saffron naked ladies)

산마늘의 일본명 교자닌니쿠(行者大蒜/행자대산)는 직역하면 수행자 마늘이다.

이름은 일본의 산악신앙 슈켄도(修験道) 수행자가 산에서 마늘 향이 나는 산채를 먹었다는 설에 유래한다.

마늘 산 (蒜/ヒル), 히루는 파, 마늘, 산달래(ノビル)등 식용의 백합과(ユリ科) 여러해살이풀의 옛이름이다.

​일상에서 키토비로(キトビロ), 키토피로(キトピロ)도 많이 사용한다.

국내에 울릉 산마늘과 오대산 산마늘 두종이 있는데 학명을 보면 일본 산마늘은 오대산 산마늘이다.

【山菜】よく似た“有毒植物”との見分け方

이 외에 ヤマビル(山蒜, 야마비루/산산, 산마늘), ウシビル(우시비루), エゾネギ(에조네기, 홋카이도 파), ヤマニンニク(야마닌니쿠, 산마늘), エイザンニンニク(에이잔 닌니쿠) 등 다양한 별명이 있다.

​키토우시(キトウシ)는 홋카이도의 지명으로 아사히카와에 있는 키토우시야마 鬼斗牛山 (三角山)를 지칭한다.

​아이누어 키토우시(kito-us-i)는 산마늘 군생지를 뜻한다.

​홋카이도에서는 원주민 이름을 붙여 아이누네기(アイヌネギ)로 부르기도 한다.

​에이잔은 시가현과 교토부에 걸쳐 있는 히에이산(比叡山)으로 옛날 이 산에 산마늘이 자생했다.